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망막질환 환자가 꾸준히 증가한 가운데 50대 이상 중장년층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망막 질환으로 진료 받은 환자는 2010년 83만 3천 명에서 2015년 125만 1천 명으로 연평균 8.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은 2010년 37만 6천 명에서 2015년 55만 7천 명으로 연평균 8.2%, 여성은 2010년 45만 7천 명에서 2015년 69만 4천 명으로 연평균 8.7% 증가해 여성이 남성에 비해 많았다.
연령대별 망막질환 환자는 2015년 인구 10만 명당 여성은 70대 이상이 8411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7692명, 50대 3755명 순이었다. 남성은 70대 이상에서 8193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6393명, 50대 3096명 순으로 50대 이상부터 많이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정은지 교수는 “시력손상을 유발하는 노인성 황반변성, 망막혈관폐쇄, 황반원공, 망막전막과 같은 주요 망막질환 모두 연령이 높아질수록 유병률이 증가한다”고 했다.
망막은 안구 뒤쪽 내벽에 벽지처럼 붙어있는 얇은 신경조직으로 우리 눈에 들어온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신경을 통해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의 필름과 유사한 작용을 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정교하고 복잡한 과정을 통해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시신경과 연결돼 있어 한 번 손상되면 원래대로 재생되기 어려운 조직이다.
사람의 안구는 직경 24mm 정도의 작은 공모양을 하고 있고 안구 내에는 유리체라고 부르는 겔 성분이 차있다. 이를 얇은 신경층인 망막이 둘러싸고 있고 바깥쪽으로 혈관층인 맥락막과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진 공막이 있다.
맥락막, 유리체 등 망막질환 원인은 당뇨망막병증이나 고혈압망막병증과 같이 전신질환으로 인해 생기는 질환도 있으나 대부분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당뇨환자의 경우 증상이 없어도 정기적인 안과검진을 통해 당뇨망막병증 진행정도를 확인해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시력저하나 사물이 일그러져 보이는 증상, 야맹증, 먼지나 벌레 같은 뭔가가 떠다니는 것처럼 느끼는 비문증, 시야가 가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망막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망막질환 종류가 다양한 만큼 검사 방법도 다양하다. 환자에게 나타나는 징후에 따라 도상검안경을 이용하거나 안저검사, 시신경 검사, 시야검사, 형광안저촬영,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해 진단하게 된다.
정 교수는 “망막은 눈 속 깊숙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외부검사만으로는 이상 여부를 알기가 어렵다. 망막질환 증상이 있다면 바로 안과를 찾아 정밀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