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국민안전처는 최근 급증하는 건설현장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업주와 근로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의 산업별 재해현황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지난 5년간 건설업 분야에서 총 11만8532명의 산업재해자가 발생해 2,585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재해 사망자는 2011년 543명, 2012년 496명, 2013년 567명, 2014년 486명, 2015년 493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월별 건설업 재해자는 3월부터 꾸준히 증가해 5월부터 연말까지 월 평균 1만명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원인은 ‘떨어짐 사고’가 33%(3만9072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넘어짐 15%(1만7992명), 물체에 맞음 13%(1만5543명), 절단·베임·찔림 9%(1만1006명), 부딪힘 8%(9,764명) 순으로 나타났다.
떨어짐 사고와 넘어짐 사고의 대부분은 현장 안전관리 미흡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높은 장소에서 작업할 때 설치하는 작업발판인 외부비계는 임시구조물이라는 이유로 미설치 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건설현장 종사자는 안전모, 안전대 등 개인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추락위험이 있는 장소는 사전에 안전시설을 충분히 설치해야 한다.
안전처 조덕진 안전기획과장은 “건설현장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업주와 근로자 스스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