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질병관리본부는 수입에 의존하는 DTaP-IPV 4가 혼합백신과 IPV 백신 수급이 불안정해 접종대상자, 의료계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시적 예방접종 권고안을 마련했다.
DTaP(Diphtheria, Tetanus, Pertussis)는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 IPV(Inactivated Poliovirus Vaccine)는 소아마비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이다.
사노피-파스퇴르사가 단독으로 공급하고 있는 4가 혼합백신이 Hib(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가 추가됐다. 해당 제조사는 접종횟수를 줄인 5가 백신(DTaP-IPV/Hib)을 생산하면서 DTaP-IPV 국내 수입을 줄이고 Hib가 추가된 5가 혼합백신을 올 6월 중 공급할 예정이다. 그 전환 과정에서 4가 백신이 한시적으로 일부 지역의 의료기관에서는 부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IPV 백신은 수입에 의존하는 백신으로 현재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에 따라 국제적 수요가 지속적으로 급증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대량 수입이 예정돼 있는 9월 이전에 한시적으로 일부 의료기관에서 부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DTaP 백신의 경우 동일 제조사의 접종을 유지하는 것이 원칙이고 수입중지 등에 따라 해당 백신이 없을 경우 불가피하게 다른 제조사 백신과의 교차접종을 인정하고 있다. 이번에도 국민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모두 고려해 의료기관에서 백신 수급이 곤란한 경우 제한적으로 교차접종이 가능하도록 했다.
보건당국은 교차접종이 시행될 경우 의료인이 보호자에게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고 이상반응 예방관리를 위한 30분 관찰 등을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상기 권고안은 6월 1일부터 적용될 예정으로 접종 대상자 알림문자 등을 통해 접종자 보호자에게 개별적으로 사전에 충분히 안내해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