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랜섬웨어 공격의 전 세계적 확산과 관련해 16일 정만기 1차관 주재 하에 41개 전 산하 공공기관의 사이버 대응현황을 점검했다.
워너크라이(WannaCry)라 불리는 이번 렌섬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MS)사 윈도우 OS의 취약점을 공격해 자기복제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파가 가능한 악성코드다.
정 차관은 현재 산업부 및 산하 공공기관에 대한 랜섬웨어 피해는 없으나 변종의 출현과 새로운 유형의 공격 가능성이 상존하는 만큼 각 기관별로 사이버 대응태세를 더욱 강화하도록 요청했다.
산업부는 지난 4월 중순 미국 국가안보국(NSA) 해킹 툴의 유출 보도 이후 동 유형의 공격 가능성에 대비해 지난 4월 16일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전 산하기관에 탐지룰을 배포하는 등 적극 대응해 왔다.
이번 랜섬웨어 공격 확산으로 국가사이버 위기 경보가 14일 이후 관심단계에서 ‘주의’로 격상된 바 국정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등과도 공조를 강화하고 있다.
산업부 측은 “향후 한전, 한수원, 가스공사, 한전기술 등 11개 정보통신기반시설 보유기관은 국정원, 산업부 사이버안전센터, 11개 자체 관제센터 3중의 보안관제 시스템을 통해 긴밀히 협조하고 유사시 대응체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