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기혼 여성 직장인들의 육아휴직 종료 후 복귀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한국 여성의 고용과 경력단절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아이를 낳고 육아휴직을 사용한 여성근로자 가운데 육아휴직 기간이 끝나고 직장에 복귀한 비율이 2008년 68.7%에서 2015년 76.9%로 증가했다.
연도별 육아휴직 사용률과 복귀율을 보면, 2001년 육아휴직제도 도입 이후 육아휴직 사용률이 증가한 것에 비해 복귀율은 낮았지만 2008년부터는 육아휴직 사용률과 육아휴직 후 복귀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9년 출산과 함께 산전후휴가를 쓴 여성근로자 가운데 52.5%가 육아휴직에 들어갔고 이 중 69%가 육아휴직 후 직장으로 복귀했다. 2015년에는 산전후휴가를 활용한 여성 근로자들 중 59.2%가 육아휴직을 사용했고 76.9%가 육아휴직을 쓰고 난 후 직장에 다시 돌아온 것으로 분석됐다.
육아휴직 종료 후 직장복귀율은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통상임금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했다. 직원 수 1000명 이상 사업장의 2015년 직장 복귀율은 81.9%로 10인 미만 사업장 69.3%, 100~299인 사업장 71.9% 등 타 규모의 사업장보다 높았다. 또한 통상임금 250만원 이상 사업장의 경우 직장 복귀율은 2015년 83.7%로 125만원~250만원 미만 사업장 75.2%, 125만원 이하 사업장 64.9%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윤정혜 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예전에는 육아휴직이 퇴직 기한 늦추기용으로 활용된 측면도 있었지만, 요즘에는 기혼여성 근로자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중요한 제도로 인식되고 있다”며 “육아휴직 후 직장 복귀율을 더 높이려면 육아휴직자에 대한 인사 상 불이익 금지는 물론 중소기업들의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