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최근 날이 무더워지면서 해안가, 갯벌, 갯바위에서 물놀이, 어패류 채취 등의 체험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안전사고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3년 간 연안사고는 총 2,584건이 발생해 388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월에서 8월 사이 연안사고로 인한 사망자수는 153명으로 전체의 39%를 차지했다. 이 중 해안가 55명(36%), 방파제·항포구 34명(23%), 해양 32명(21%) 순으로 사망사고가 많이 발생했다. 특히 갯바위·방파제·항포구의 경우 사망자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유형별로는 익수가 103명(68%)으로 가장 많았고 추락 31명(20%), 고립 5명(3%), 표류 3명(2%)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무리한 물놀이와 위험한 해안 절벽 접근에 따른 추락 등으로 인한 것으로 부주의와 안전수칙 미준수가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난 5월 8일 충남 태안군 소재 해수욕장 인근 갯벌에서 30대 남성이 어패류를 채취(해루질)하다 물에 빠져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지난 14일에도 강원도 삼척시 궁촌항 방파제(테트라포드)에서 50대 남성이 낚시를 하던 중 추락해 큰 부상을 입는 등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연안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사전에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위험구역에 비치된 각종 안내표지판의 준수사항을 꼭 지켜야 한다. 출입통제장소에는 절대로 들어가서는 안 된다. 또한 갯벌에 출입할 때는 사전에 물이 들어오는 들물 시간을 확인해 휴대폰 알람 설정해 해두고 들물 전에 반드시 갯벌에서 나오도록 한다. 추락사고 위험이 높은 방파제, 갯바위 등에서는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고 활동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안전처 관계자는 “연안사고는 순간의 부주의가 목숨을 잃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연안에서 안전한 레저활동을 즐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본인 스스로 위험요소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수칙을 꼭 준수해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