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국민안전처는 최근 잇따른 화재로 국민적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31일부터 중앙소방특별조사단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개시한다.
전통시장은 노후화된 건물들이 밀집돼 있고 미로식 통로와 가연성 상품이 많아 화재에 특히 취약하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5년간 전통시장 화재는 총 386건으로 연평균 77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 화재는 철시(撤市) 후 주로 심야시간대에 발생했다. 원인은 누전, 합선 등 전기적 요인이 48%(184건), 부주의(26%), 기계적 요인(10%), 방화(3%) 순으로 나타났다.
중앙소방특별조사단은 소방안전, 기계, 전기, 건축, 가스, 화공 분야별로 21명의 전문위원을 구성해 종합적인 안전진단을 실시한다. 조사대상은 점포수 1000개 이상의 대형시장으로 서울 12개소, 인천 1개소, 부산 5개소, 경북 1개소, 제주도 1개로 전국에 20개소다.
소방특별조사 결과 위법사항이 발견되면 의법 조치하고 현지조치가 가능한 사항에 대해서는 즉각 시정토록 해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근원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제도개선 과제도 함께 발굴해 소방제도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중앙소방특별조사단은 공항, 철도시설, 국가산업단지, 초고층건축물, 석유비축시설 등 재난발생 시 큰 피해가 예상되는 대상에 대해 소방특별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