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지혜 기자] 질병관리본부는 모기감시결과 부산지역에서 일본뇌염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경보발령 기준이상으로 발견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6월 29일 발령했다.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한다.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 일 때 경보발령 된다.
부산지역에서 지난 23일 채집된 모기 중 작은빨간집모기의 하루 평균 채집 개체수가 531마리로 전체 모기의 72%를 차지했다. 올해 경보발령은 지난해 7월 11일보다 약 2주정도 빠르고 6월 경보가 발령된 것은 1997년 이후 처음이다.
모든 매개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린 경우 99% 이상이 무증상 또는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나 일부에서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어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7월부터 10월 하순까지는 각종 질병 매개모기의 활동이 활발한 시기로 야외활동과 가정에서 모기회피와 방제요령을 준수해야 한다. 야외 활동 시에는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노출된 피부에는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일본뇌염은 예방백신이 개발돼 있어 예방접종 대상이 되는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아동은 표준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아울러 19세 이상 성인은 일본뇌염 예방접종 권장 대상은 아니지만 논이나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지역 거주자 또는 중국·인도·베트남 등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은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질병본부 관계자는 “최근 5년간 일본뇌염 환자의 대부분이 40세 이상이었다. 특히 이 연령층에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