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국토교통부는 정보의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는 해외 인프라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프로젝트 정보와 시장 동향을 수집한 정보를 국내기업에 지원하기로 했다.
아시아, 미주, 아프리카·중동 3개 지역과 인도, 우즈베키스탄, 이집트, 탄자니아, 멕시코, 칠레 6개 국가로 확대하고 지역 중심으로 개편해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지역 내 국가들 간 정보가 연계될 수 있도록 했다.
3개 지역에는 해외건설 인프라협력관(이하 협력관)이 지역별 센터를 운영하며 해당 지역의 국가를 총괄하는 지역 사무국 역할을 하게 된다. 6개 거점 국가에는 민간전문가를 해외건설 인프라지원관(이하 지원관)으로 위촉해 해당 국가의 인프라 관련 정보를 수집해 협력관에게 보고하게 해 보다 촘촘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향후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정보네트워크를 활용해 시장조사 대행, 현지 법률, 회계정보 상담, 발주처 접촉 등 광범위한 수주지원활동도 지원받을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해외 인프라시장이 단순 도급에서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전환되고 있어 사업의 초기 단계 정보 획득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번 개편을 통해 정보수집 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