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폭염 특보가 연일 이어지는 8월을 맞아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등 온열질환 발생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행정안전부 질병관리본부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5년간 온열질환자는 총 5,910명으로 그 중 사망자는 58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4년부터 온열질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올해도 현재까지 781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이 중 4명이 열사병으로 사망했다.
기간별로는 7월 말부터 온열질환자가 본격적으로 발생해 8월 1주차 23%(1,365명)로 가장 많았다. 연령대는 50대가 21%(1,260명)로 가장 많았고 40대 17%(983명), 60대 14%(827명)로 나타났다.
실내보다는 실외에서 주로 발생했다. 실외에서는 작업장이 34%(1,602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논·밭 21%(995명), 길가 16%(755명) 순이었다. 특히 사망자 58명 가운데 70대 이상 고령자가 50%(29명)로 절반을 차지하며 논·밭, 비닐하우스 작업 중에 발생했다.
온열질환은 이온 음료 등을 이용한 적절한 수분 공급만으로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간단한 행동 수칙만 지켜도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그늘진 곳이나 에어컨이 있는 실내로 환자를 옮긴 후 얼음주머니를 목과 겨드랑이에 대고 체온을 낮추고 시원한 물을 마시도록 해야 한다.
응급환자의 경우 보건소나 소방서에 즉시 신고하고 병원으로 신속하게 이송해야 한다.
조덕진 행안부 안전기획과장은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물을 자주 마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과도한 야외활동이나 장시간의 논․밭 작업 등을 피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