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28일 "2015 한일합의 후 미국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니라 '성적 목적으로 여성들을 인신매매한 범죄'라고 표현하는 등 문제의 본질을 왜곡해 왔다"며 "합의과정에 미 정부가 개입한 사실도 드러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대협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권과 세계 평화에 대한 미국 정부의 의미 있는 결의가 10년이 지나면서 발전하지 못하고 오히려 후퇴하는 데 대해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우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정의실현이 지연되고 있는 현재의 사태에 대해 미국 정부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며 "미국 정부는 가해자 일본 정부가 범죄 인정과 사죄, 배상할 자세도 갖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일 정부에게 '위안부' 합의를 종용하고 압박했다"고 주장했다.
또 "이같은 미국 정부의 모습은 피해자에게 인권 회복의 권리를 제대로 요구하지 못하게 하고 포기할 것을 압박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미 하원 결의 채택 10주년을 맞아 다시 그 결의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일합의 무효와 피해자들의 요구가 이뤄지기 위해선 미국 정부와 국제 사회의 부당한 압력이 아닌, 정의로운 연대와 협력을 요구한다"며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들의 인권회복 활동을 한미 동맹 강화의 걸림돌로 취급하는 돈 중심의 사회에 대해 인권과 개인의 존엄성의 가치가 존중될 수 있는 해결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미국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일본군 성노예제 관련 모든 문서 공개 ▲2015 한일합의에 대한 미국 정부의 간섭 중단 ▲한일 정부 2015 한일합의 즉각 파기 ▲관련자 처벌·피해자 명예훼손 방지 지원 등을 요구했다.
미국 하원은 지난 2007년 7월, 본회의에서 일본정부에 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죄를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 2015년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에 의한 성적 목적의 여성 인신 매매"라고 규정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