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올해 초 빈병 보증금 인상 이후 소비자 반환율이 47%로 나타났고 빈병 회수율도 97.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올해 1월 1일부터 빈병 보증금을 23년 만에 소주병은 40원에서 100원으로, 맥주병은 50원에서 130원으로 인상한 바 있다. 2014년과 2015년 24%를 기록했던 빈병 소비자 반환율은 지난해 30%로 늘어났고 빈병 보증금 인상 효과에 따라 올해 6월 말 기준 47%나 상승했다.
아울러 현재 국내의 빈병 재사용 횟수는 8회다. 분리 배출된 빈병이 마대자루 등에 담겨 운반되고 선별장 등에서 선별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훼손이 발생해 재사용 횟수가 선진국 보다 낮다. 독일의 경우 빈병 재사용 횟수는 40~50회, 핀란드 30회, 일본 28회, 캐나다 20회 등이다.
환경부 측은 “빈병 재사용 횟수가 8회에서 20회로 증가할 경우 신병 제작비가 1,259억 원에서 437억 원으로 약 822억 원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한편, 지난 5월 11일부터 5월 22일까지 무인회수기 이용자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무인회수기 이용자의 83.3%가 무인회수기를 통한 빈병 반환에 대해 ‘만족’, 소매점 관리자의 68.6%가 무인회수기 운영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소비자의 빈병 반환 편의를 높이기 위해 무인회수기 보급을 늘릴 예정이다. 또한 소매점의 보관 공간 부족 해소를 위해 현재 서귀포에서 시범 운영 중인 재활용도움센터를 내년까지 전국에 17곳 이상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김원태 환경부 자원재활용과장은 “보증금 인상 이후 소비자와 도소매 업계의 적극적인 협조로 제도가 빠른 속도로 정착하고 있다”며 “소비자들도 빈병에 이물질을 넣거나 훼손하지 않고 가능하면 구매한 소매점에 반환하는 것이 빈병 재사용 횟수를 늘려 환경보전에 동참하는 좋은 방법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