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청와대는 28일 박근혜 정부 당시 청와대 제2부속실의 전산공유 파일을 발견했다고 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8월 10일 제2부속실에서 사용되던 공유 폴더에서 수천 건의 지난 정부 문서 파일이 발견됐다"며 "발견된 문서는 2013년부터 2015년 1월까지 '한글' 등 양식으로 작성된 문서 파일들로 국무회의 292건,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 221건, 비서실장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 202건, 기타 회의 자료 및 문서 파일 등 9308건"이라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일부 문서파일엔 문화계 블랙리스트 등 국정농단 관련 내용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이어 "2015년 1월23일 청와대 인사 당시 제2부속실이 폐지됐고, 이후 이 공유 폴더는 사용되지 않고 방치됐다"면서 "각 비서실별, TF별, 개인별 공유폴더에 전임 정부 생산파일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새 정부 출범 초기부터 인지해 왔다"면서 "당시 살펴보았을 때는 직원 개인 사진, 행정문서 양식, 참고자료, 직원 개인 자료 등이 주로 들어있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또 "전임 정부 비서실에서 시스템과 개인 PC 자료들은 삭제했다"면서 "그러나 공유 폴더는 전임 정부부터 근무하던 일부 직원들이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근무하면서 참고 및 활용하면서 지속 보관해왔다"고 밝혔다.
박수현 대변인은 "공유 폴더는 해당 비서관실에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돼 있다"며 "이런 이유로 지난 10일 문제의 문서 파일들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대통령 기록물과 무관한 것으로 알고 주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박 대변인은 아울러 "그러나 지난 8월10일 제2부속실 직원이 스캐너 연결을 위한 PC 설정 작업 도중 전임정부 2부속실의 공유 폴더를 발견하게 됐다. 이 직원이 열어본 폴더 이름은 '제2부속비서관실'이고, 그 안에 '기타사항' 폴더, 그 안에 있던 '회의 자료'에 관련 문서 폴더들이 있었고, 그 안에 문제의 문서 파일들이 들어있었다"고 밝혔다.
박수현 대변인은 "이 자료들은 지난 7월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실에서 발견된 문서들과 작성시기가 다르다"라며 "7월에 발견된 것은 2016년 11월까지 작성된 종이문서였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번에 발견된 문서파일은 총량 자체가 워낙 많아 대통령 기록물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상당한 시일이 걸렸다"면서 뒤늦게 공개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또 전자 결재시스템을 통한 기록물경우 전임 정부에서 모두 이관 절차가 마무리 된 상황에서 이번에 발견된 것 같은 기록물이 남아있으리라 생각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박 대변인은 끝으로 "이번에 발견된 문서 파일은 총량 자체가 워낙 많아 대통령기록물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데만 상당한 시일이 걸렸다"며 "향후 이들 문서 파일도 대통령기록관에 이관될 예정이지만 현재 수사나 재판이 진행 중인 사안과 관련된 파일은 관련 기관 요구가 있을 경우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