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행정안전부는 가을철로 접어들면서 야생 독버섯을 식용으로 잘못 알고 먹는 ‘독버섯 중독사고’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농촌진흥청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독버섯으로 인한 중독사고로 총 75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중 7명이 사망했다.
연도별 환자수는 2012년 32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16년 19명으로 증가했다. 전체 발생건수 대비 환자수는 3.4명으로 1건의 독버섯 중독 사고에 3명 정도의 피해자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채취해 온 버섯을 가족이나 지인들과 나누어 먹음으로 인해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독버섯 중독 사고를 예방하려면 버섯 구분법에 대한 속설을 믿지 말고 날 버섯은 가급적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야생에서 채취한 버섯을 먹은 후 6시간~24시간 내 현기증을 비롯한 구토, 두통,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먹었던 버섯을 병원에 가져가 확인 후 치료를 받아야 한다.
<독버섯과 식용버섯 비교>
조덕진 행안부 안전기획과장은 “야생버섯은 가급적 채취하거나 먹지 않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