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강인수 기자] 휴전선 부근 민간인출입통제선(이하 민통선) 안에 농업용 드론 비행이 제한적으로 허용될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1일 경기 파주시 군내면 영농 장애인 이모씨(만 56세)가 민통선 내에서 농업용 드론을 사용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낸 고충민원에 대해 농업용 드론의 특성을 고려해 제한적으로 허용하도록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에 의견표명 했다.
이 씨는 1984년 군복무를 마치고 민통선 이북지역인 경기 파주시 군내면 읍내리에서 장단콩을 재배하던 아버지를 도우다가 지뢰사고로 팔과 다리를 잃어 2급 장애인이 됐다. 이후 이 씨는 의족과 의수를 착용한 채 새벽 5시 통일대교 초소를 통해 민통선 이북지역으로 들어가 약 3만평의 농지에 장단콩 등을 재배하며 직접 농사일과 차량운전을 해 왔다.
지난해 경기도 파주시는 농약살포가 가능한 농업용 방제드론 3대를 구입해 주민들이 좀 더 손쉽게 병충해를 예방하도록 홍보와 시연회를 실시해 드론 사용을 적극 권장했다. 몸이 불편해 농약살포의 어려움을 겪던 이 씨는 농업용 방제드론을 사용하면 인력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보고 2천여만 원을 들여 드론 1대를 구입해 올해부터 농약을 살포했다.
그러나 이를 안 군부대가 ‘민통선 내 드론 사용금지’ 규정을 근거로 농업용 드론 사용을 허가하지 않았다.현재 유엔사 규정에 따르면, 민통선 이북지역(P-518 공역)은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비군용기의 경우 비상재해임무를 제외한 비행금지선 북쪽으로의 비행을 금지하고 있다. 이 구역 내에서 드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합동참모본부의 비행 승인이 있어야 가능하다.
이 씨 외 농민들은 농업용 드론은 일반 드론과는 달리 카메라 촬영이 불가하고 3m 높이에서 5분 정도의 짧은 비행만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농기계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씨는 “이전에는 1천여 평에 농약을 살포하려면 여러 명이 서로 도와 4시간 정도 소요됐으나 농업용 드론을 사용하면 1시간밖에 걸리지 않아 시간 절감과 인력난 해소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했다.
권익위 현지조사 결과, 이 씨 외 농민들이 사용하는 농업용 드론은 실제 카메라 설치가 불가능하고 농약살포 기능만 있었다. 또한 배터리 용량이 적어 5분밖에 비행할 수 없고 비행 높이도 3m에 불과했다.
또한 농업용 드론의 제원과 특성상 군사적 충돌을 야기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점, 합동참모본부가 관련법령 개정을 추진해 농업용 드론의 제한적 승인을 검토 중에 있는 점, 농업용 드론 사용으로 농민들의 편익과 효용이 크게 증가하는 점, 지자체에서도 국비로 농업용 드론을 방제에 이용하도록 장려하고 있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권익위 관계자는 “농업용 드론 사용으로 인한 농민의 편익과 효용가치가 큰 점을 고려해 볼 때 군사적 충돌이나 보안상 문제가 없다면 제한적으로 비행을 허용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