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공조방안을 논의했다.
한·미·일 3국 정상은 오찬 회담은 지난 7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 초청으로 이뤄진 3국 정상 만찬회담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한·미·일 3국 정상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동북아는 물론 국제사회 전체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것으로서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에 대응하여 3국 간 공조가 더욱 긴밀해 지고 있다는 데 인식을 공감했다고 강경화 외교부장관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특히 한·미·일 3국 정상은 북한이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밖에 없도록 국제사회 전체가 북한에 대해 최고강도의 제재와 압박을 가해야 한다는 데도 입장을 같이 하고 국제사회가 확고하고 단합된 입장을 견지하도록 3국이 긴밀하게 공조하기로 했다.
아울러 한·미·일 3국 간 굳건한 공조를 바탕으로 중국, 러시아 등 관련국과도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또 한·미·일 3국 정상은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결의 2375호가 신속하게 만장일치로 채택된 점을 평가하면서 모든 유엔 회원국들이 이번 결의를 포함한 일련의 안보리 결의들을 충실하고 철저히 이행하도록 3국 간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방위공약은 굳건하며, 흔들림 없이 유지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이와 함께, 한·미·일 3국 정상은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안보 분야에서의 협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한편 "이번 유엔 총회는 한미 간 긴밀한 정책 공조를 바탕으로 한‧미‧일 3국 협력 및 여타국들과의 협력을 통해 북한 핵 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결집하는 기회가 됐다"고 평가하고 "브리핑을 마친 후에는 안보리에서 북핵문제를 포함한 WMD(대량살상무기) 비확산을 주제로 하는 장관급 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회의에서도 북핵문제가 상당한 무게감을 가지고 다뤄질 것으로 본다"며 "본인도 회의에서 국제사회가 완전한 북핵 폐기라는 공동의 목표를 평화적 방식으로 달성하기 위해 안보리가 특별한 책임을 가지고 솔선수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