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오후 뉴욕 존에프케네디 공항에서 전용기 이륙 전 동행취재한 기자들과 만나 미국 뉴욕에서 열린 3박5일 간의 제72차 유엔(UN) 총회 성과에 대해 "국제적인 공조가 잘 되고 있고 우리 대한민국의 입장에 대해서 다 지지와 협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어서 대응은 잘 돼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북핵 문제가 단기에 해결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지만 해결에 들어가는 과정"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지금처럼 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에 도발하고, 그러면 그에 대해서 더 강도 높게 제재하고 이런 것이 계속 이어져서는 안 되겠고 하루 빨리 여기서 벗어나야 될 텐데, 하여튼 그런 게 큰 과제"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특히 이번에 외교협회를 비롯한 미국 외교단체 관계자들과 만나서 제안받은 '창의적 해법'에 대해 "도발하고 제재하는 악순환에서 벗어나서 북핵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해법이 필요한 것 아니냐하는 원론적인 이야기를 나눴다"면서 "지금 이 시점에 창의적인 해법이 구체적으로 거론된 것은 아니고, 창의적인 해법들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또 "지금처럼 잔뜩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는 선뜻 다른 해법 모색하기도 어렵다"며 "지금은 북한에 대해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압박하는 것 외에는 달리 다른 방법이 없을 것 같다. 이 고비 넘어서고 북한이 도발 중단한다면 그 때는 좀 더 근본적 해법이 모색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강조한 대북 문제 해결을 위한 유엔의 역할에 대해 "양자회담, 3자·4자·6자 회담 어떤 대화든 굳이 이것이 옳다 저것이 옳다 말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되고 어떤 형태의 대화든 모색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제가 동북아 전체의 다자주의에 입각한 집단적 안보협력, 다자 안보협력을 말하는 것은 보다 근원적 상태다. 지금처럼 남북이 대치하고 그에 따라 동북아 전체가 대치되는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EU(유럽연합)처럼 동북아 전체가 경제적인 공동체가 되고 또 다자적인 안보 협력체가 되고 이렇게 가야 안보 문제가 근원적으로 항구적으로 평화체제로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라며 "그것은 어찌 보면 좀 더 원대한 우리가 꿈꾸는 미래라고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원래 전임 대통령들은 모두 다 취임 첫 해에 유엔총회에 오지 않고 보통 2∼3년 차에 갔었다. 이번에 평창동계올림픽이 있어서 올림픽 홍보 목적도 있어서 취임 첫해에 유엔 총회에 오게 됐는데 북핵문제도 있고 해서 잘 왔던 것 같다"며 "여러모로 성과도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