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길거리나 보호시설을 전전하는 노숙인이 전국적으로 1만1340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노숙인 규모, 경제활동, 건강 등에 대한 ‘2016년 실태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지난해 10월 기준 노숙인 수는 1만1,340명으로 이 중 거리노숙인은 1,522명, 임시보호시설 노숙인 493명, 자활·재활·요양 생활시설 노숙인이 9,325명으로 조사됐다. 노숙인 중 남성이 73.5%, 여성이 25.8%를 차지했다.
노숙인의 36.1%는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등 대사성질환, 29.5%는 치아질환·잇몸질환·치아결손 등 치과질환, 28.6%는 조현병·우울증·알코올중독·약물중독 등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9.5%는 장애인으로 등록된 상태로 이 중 1~3급 비율이 76.2%로 나타났다.
몸이 아플 때 ‘노숙인시설이나 사회복지기관에 도움을 청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8.1%, 개인병원 진료 18.1%, 무료진료소 진료 16.8%, 국공립병원 진료 15.1% 순으로 응답했다. 거리노숙인의 경우 ‘병원에 가지 않고 참는다’고 응답한 비율도 31.0%로 나타났다.
노숙인의 약 40%는 음주를 하고 있고 이 가운데 29.3%가 ‘주 2~3회 이상 음주’, 18.5%는 ‘4회 이상 음주’를 한다고 응답했다. 우울증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응답자는 51.9%로 거리노숙인이 69.0%%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노수인의 47.3%는 기초생활보장급여, 기초연금 또는 장애연금 등을 통해 수입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리노숙인의 경우 지출 비중은 술과 담배(38.5%), 식료품비(36.5%), 주거비(9.9%) 등으로 사용했다.
노숙을 시작한 후 거주한 시설은 ‘노숙인생활시설’이 73.9%로 가장 많았다. 이어 거리(15.2%), 비정형주거(4.3%) 등으로 조사됐다. 거리노숙인의 시설 미이용 사유로는 ‘단체생활과 규칙 때문에’ 31.2%, ‘실내 공간이 답답해서’ 21.1%, ‘잘 몰라서’ 18.9% 등으로 나타났다.
복지부 관계자는 “노숙인에 대한 보호강화방안을 마련해 일시보호시설과 자활시설 입소 노숙인 3식 제공 확대, 진료 가능 기관 이용에 대한 홍보와 안내 등을 민간-지자체와 추진할 계획이다”고 했다.
한편, 올해 9월 현재 노숙인 지정병원은 260개, 거리노숙인 현장무료진료소는 서울역무료진료소·영등포무료진료소·부산희망등대종합지원센터 3개소가 운영 중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