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부산국제영화제에 참석해 영화를 전공하는 대학생들과 오찬 간담회 자리에서 "앞으로 한국영화계 이끌어나갈 분들 같은데 이 자리 갖게 돼서 뜻깊다.저는 부산사람이어서 부산국제영화제가 처음 시작될 때부터 쭉 공식적으로, 또는 개인적으로 함께해 왔다"며 "과연 우리가 세계적인 국제영화제를 해낼 수 있을까 그런 생각을 했는데, 정말 기적 같은 성공을 거둬 빠른 시간 내에 세계 5대 영화제이자 아시아 대표 영화제가 됐고 부산시민들과 국민들이 자랑스러워하는 영화제로 성장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그 성장한 배경을 생각하면 정부도, 부산시도 적극적으로 영화제 지원하더라도 철저히 간섭하지 않았다"며 "영화제 자체를 영화인에게 맡겨 독립적, 자율적으로 운영토록 했다. 그 때문에 영화인들이 갖고 있는 저력을 100% 발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특히 "그 이후 몇 년간 부산영화제가 좌파영화제다 해서 영화제 지원을 빌미로 정부가, 부산시가 간섭했다"며 "영화 '다이빙벨'상영을 계기로 해서는 아예 영화제 자체가 블랙리스트에 올라가 국고지원금이 반 토막 나고, 이런 상황이 되면서 영화제가 위축됐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또 "우리 정부에서는 다시 부산영화제 과거의 위상으로 되살리겠다는 생각"이라면서 "그 방향은 자명하다. 초기처럼 정부도, 시도 힘껏 지원하되 운영은 영화인에게 맡기는,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살릴 것"이라고 약속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울러 "부산국제영화제는 부산 시민들의 자부심이다. 이를 통해 부산 여러 대학에 영화학과가 생기고, 영화 관련 기관이 부산에 모였다"며 "심지어 부산에서 찍으면 대박이 난다는 말이 생길 정도로 부산이 영화의 도시가 되고 부산 경제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그런 의미에서 책임감·사명감을 느낀다"며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하고도 논의를 했다. 정부가 부산영화제를 다시 활발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빠른 시일내 찾겠다는 각오를 말씀 드린다"라며 "많은 영화인이 부산영화제가 정치적으로 돼버린 것에 대한 불만이 있어 외면하고 지금도 참여하지 않는 분도 있는데, 정부의 의지를 믿고 이번 영화제 남은 기간이라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영화제를 살려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