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가을철 야외활동 진드기, 쥐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에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가을철에 주로 환자발생이 증가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을 위해 야외활동과 논·밭에서 작업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진드기매개감염병 쯔쯔가무시증은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9월말~11월말 가을철에 발생하므로 야외활동 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고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반드시 돗자리를 펴서 않고 돗자리를 사용한 후에는 세척해 햇볕에 말리기, 귀가 후에는 입었던 옷을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 등을 해야 한다.
야외활동 후 고열, 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나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인 가피가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은 쥐 같은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이다. 렙토스피라증은 65% 이상이 9∼11월에 발생한다. 병원성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이나 조직에 직접 노출됐을 때 감염된다. 고열, 근육통, 두통, 설사, 발진, 결막충혈 등의 증상을 보인다.
신증후군출혈열은 10∼12월에 60% 이상이 발생한다. 한탄·서울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에서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배출돼 건조된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감염 시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출혈소견,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설치류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동물의 소변에 오염가능성이 있는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작업 시 피부 보호를 위해 작업복과 장화를 반드시 착용하고 주위 환경에서 쥐의 서식여부를 확인해 배설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질병본부 관계자는 “보건소를 통해 매년 진드기와 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며 “‘가을철 발열성 질환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야외활동 후 발열, 두통 등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