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우윤화 기자] 건조한 가을철을 맞아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기상청 예보에 따라 11월~12월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10년간 건조 기상특보 현황을 보면 10월 23회 보다 11월 82회로 건조특보 발령이 3.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청 통계에서는 이 기간 연평균 394건의 산불이 발생했고 478.05ha의 산림이 소실됐다. 산불은 건조한 바람이 부는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10월~12월에도 평균 47건(12%) 정도가 발생해 연간 피해면적의 5.4%(25.74ha)가 소실됐다. 특히 낙엽이 쌓이는 11월에 평균 19건의 산불이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
7월에서 12월 중 일어난 산불 발생 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52.9%로 가장 많았다. 이어 논밭두렁 소각 7.7%, 쓰레기 소각 7.5%, 담뱃불 실화 5.6% 순으로 발생했다.
정부는 11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가을철 산불 조심기간을 설정하고 산불 대응 협력 강화와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관계부처 협의체를 운영한다. 산불 전문 예방진화대, 산불 감시원 등 산불방지 인력을 조기에 선발해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입산자 실화로 인한 산불 방지를 위해 산불 조심기간 중에는 입산·등산로 통제구간을 확대 운영한다.
조덕진 행안부 안전기획과장은 “등산객은 산행 전 입산통제와 등산로 폐쇄여부를 확인하고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통제지역은 출입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산에 갈 때는 라이터 등을 가져가지 않도록 하고 야영이나 취사는 허용된 지역에서만 하도록 한다. 산불을 발견했을 때는 즉시 주변에 알리고 소방서 등으로 신고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