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인문학 분야 신간 서적을 하루 만에 점자책으로 만나볼 수 있게 됐다. 그동안 시각장애인이 읽을 수 있는 점자책 하나를 새로 제작하는 데 통상 석 달 이상 걸렸다.
행정안전부는 2일 점자도서관, 기업, 공익재단, 정부기관 협업으로 ‘시각장애인 독서활동 지원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지금까지는 새로 점자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시중에 나온 책을 펴놓고 점자도서관 직원이나 자원봉사자들이 컴퓨터에 타이핑(typing) 하는 일로 시작했다. 그렇게 만든 전자파일을 책과 대조하며 1차 교정 후 시각장애인이 촉각으로 읽을 수 있는 점자로 바꾸고 다시 2차 교정하는 데 짧게는 석 달, 길게는 반년까지 걸렸다.
앞으로는 국내 최대의 온라인 도서 유통 회사인 ‘예스24’가 가지고 있는 대규모 전자책 콘텐츠를 활용해 타이핑과 1차 교정을 건너뛸 수 있게 됐다. 다만 표나 그림이 없는 인문학 분야의 문학류, 철학서 등으로 한정했다.
‘예스24’는 점자책 발간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지원하고 출간 도서 해당 저작권 출판사와 점자책 출간 협의를 맡는다. 점자책 제작에 저자 인세 등 출판사 지급금액 외에 수익을 붙이지 않기로 했다.
전자책 데이터를 점자로 바꾸는 부분은 ‘닷 워치’라는 점자 스마트 시계를 만든 새싹기업 ‘닷’이 담당했다. 지난 3월 국립특수교육원이 발간한 점역출판안내서의 내용을 꼼꼼하게 반영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점자 변환과 2차 교정에 걸리던 시간을 아꼈다. ‘닷’은 이 소프트웨어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향후 기술지원도 약속했다.
공익 재단법인인 3·1문화재단은 점자도서관과 맹학교를 위해 점자책을 보급하고 디지털 도서 자료인 데이지(DAISY)를 제작하는 데 2억 원을 후원하기로 했다.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도서관협의회는 이렇게 만들어지는 점자책과 데이지 자료가 전국의 많은 점자도서관과 맹학교에 원활히 지원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박성호 행안부 정부혁신기획관은 “이번 협업은 정부가 민간단체, 기업과 함께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는 하나의 사례다”며 “책 제작비용이 크게 줄고 책의 종수가 대폭 늘어나 다양한 점자책을 기다리던 시각장애인들에게 무척 반가운 소식이 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