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라오스국립대 안에 현지에서 발굴한 생물표본 3,301점을 보관할 수 있는 표본실이 설치된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한국-라오스 생물자원 공동연구 7주년을 맞아 라오스 생물표본실 설립 기념식을 9일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에 위치한 라오스국립대에서 개최한다.
라오스국립대 산림학과에 소재한 라오스 생물표본실은 밀폐형 표본장과 제습기를 갖추고 있다.
이번에 기증된 표본은 국립생물자원관이 2010년부터 라오스 포카오카이와 포사보스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공동연구를 수행해 발굴한 식물, 균류, 곤충, 조류, 파충류, 포유류 등 2,470종이다. 같은 종의 표본은 국립생물자원관에도 수장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10년 간 지구 생물다양성 보전과 해외 유용소재 발굴을 위해 생물자원이 풍부하지만 보전 인력과 기술이 부족한 국가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해 왔다. 현재 공동연구를 펼치고 있는 생물다양성 부국은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몽골, 탄자니아, 미크로네시아 7개국이다.
2014년 발효된 나고야의정서에 따라 협력국의 사전 승인을 얻어 합법적으로 해외 생물자원에 접근하고 있고 공동조사를 통해 밝혀진 정보를 해당 국가와 공유하고 있다. 또한 라오스처럼 생물표본을 보관할 시설이 없는 국가에 표본실 설치도 함께 지원하고 있다. 2016년 10월 미얀마에 생물표본실을 설치해 생물표본 1,864종, 3,098점을 수장 중이다.
백운석 국립생물자원관장은 “라오스는 중국과 인접하고 있어 우리나라 바이오업계의 생물소재 중국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국가다”며 “지구촌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나고야의정서 발효 이후 어려워진 해외 생물자원에 대한 접근 경로를 다변화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국제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