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최근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난방을 시작하는 가정이 많아지고 있다. 가스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행정안전부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난방을 위해 보일러를 켜기 전 꼼꼼히 점검하고 가동할 것을 당부했다.
2015년 통계청에서 실시한 인구총조사의 ‘거처의 종류별 난방시설 가구 조사’ 결과 전국 가구(家口)에서 사용하는 난방의 84%가 개별난방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난방 형태별로는 도시가스 보일러가 76%로 가장 많았고 기름보일러 15%, 전기보일러 4%, 프로판(LPG)보일러 3% 순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한국가스안전공사 자료를 보면 가스보일러의 경우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 간 발생한 사고는 총 26건으로 사망 18명, 부상 61명을 포함해 총 79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사고의 대부분은 급·배기통 문제로 발생하는 시설미비가 18건(69%)으로 가장 많았고 노후로 인한 고장이 6건(23%), 기타 2건(8%) 순으로 발생했다. 배기통 이탈로 유해가스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이어진 피해는 20건(77%)이며 78명(사망18명, 부상60명)이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 보일러실은 환기가 가장 중요하다. 바람이 들어오지 않게 환기구와 배기통을 막아놓으면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돼 매우 위험하니 항상 열어놓아야 한다. 보일러 배기통이 빠져 있거나 찌그러진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막혔거나 구멍 난 곳은 없는지 점검한다.
아울러 동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보일러에 연결된 배관들을 보온재로 감싸주면 좋다. 이 때 헌옷 등으로 감싸면 누수 시 옷에 배인 물이 얼어 오히려 동파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한다.
행안부 측은 “보일러를 켰을 때 과열, 소음, 진동, 냄새 등이 평소와 다를 경우 반드시 전원을 끄고 전문가에게 점검을 받은 후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