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겨울철 전기장판, 전기방석, 온수매트 등 전열기기를 사용할 때에는 화재 발생에 유의하고 화상을 입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실내난방을 위해 보조적으로 전기장판, 온수매트 등의 사용이 많아 안전사고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2년간 발생한 전기장판과 관련해 접수된 안전사고는 총 1,367건으로 나타났다. 계절적 특성으로 겨울(513건, 37%)에 가장 많았지만 봄(382건, 28%), 가을(322건, 24%), 여름(150건, 11%)에도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원인은 화재나 과열 834건(61%), 전기누전이나 화학물질 배출 246건(18%), 제품 불량이나 고장 222건(16%) 등으로 많았다.
신체에 상해를 일으킨 사고는 총 467건(34%)으로 이 중 화상이 404건(87%), 열상·자상·찰과상 등 14건(3%), 연기 발생으로 인한 유해가스 흡입 중독 11건(2%), 감전 8건(2%) 순이었다.
전기장판은 무거운 물건에 눌리거나 접힌 채로 장시간 사용하면 내부 전선이 얽히거나 손상돼 불이 나기 쉽다. 또한 전열기기를 다른 전기 제품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돼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단독 콘센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조덕진 행안부 안전기획과장은 “일반적으로 화상은 고온 접촉으로 생긴다고 알고 있으나 낮은 온도로 오랜 시간 노출돼도 저온화상을 입기 쉽다. 긴 옷을 입고 담요를 깔아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