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노승희 기자] 국토교통부와 노원구는 7일 서울시 노원구 에너지 제로주택(이하 EZ house)에서 ‘노원 제로에너지 실증 단지 오픈하우스 행사’를 개최했다.
노원 ‘EZ house’는 기후변화 문제 대응을 위해 국토부가 집중 육성하고 있는 에너지 자립주택이다. 서울시·노원구·명지대 산학협력단(명지대, 케이씨씨(KCC), 서울주택도시공사)이 참여해 건설한 국내 최초 제로에너지 공동주택 실증 단지다.
신혼부부 100세대, 고령자 12세대, 협동조합세대, 모니터링 세대 등 총 121세대로 구성돼 있다. 냉방과 난방, 급탕, 조명, 환기 5대 에너지 제로화를 목표로 총 493억 원을 투입했다. 서울 시내 지하철 역세권에 위치하면서도 월 13만7,230~20만7,760원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된다. 입주한 전 세대가 협동조합의 일원으로서 공동육아, 1인 1텃밭 등 커뮤니티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제로에너지 주택의 최대 장점은 단열, 기밀 등에 패시브(Passive) 설계기술을 이용해 적은 에너지로도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이나 지열시스템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에너지 비용을 ‘제로화’ 한다는 점이다.
2009년 기준 주택 대비 패시브 기술로 에너지사용량 약 61%, 고효율 설비로 약 13%의 에너지를 추가로 절감했다. 동시에 태양광 전지판, 지열 히트펌프 등 재생에너지 기술을 통해 약 33% 에너지를 생산했다.
결과적으로 노원 ‘EZ house’ 각 세대는 난방, 냉방, 온수, 조명, 환기에 연간 약 97만 원 수준의 에너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구개발을 통해 제로에너지주택 최적화 모델을 실증한 노원 ‘EZ house’가 2025년 제로에너지 주택이 실현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