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겨울철 눈이나 얼음으로 인해 길이 미끄러운 날이 많아 넘어지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겨울철을 맞아 어르신들이 미끄러져 넘어지는 낙상사고 예방을 위해 준수사항과 대처방법을 안내했다.
낙상사고는 미끄러지거나 걸려 넘어지는 것으로 심각한 신체의 손상을 동반하고 심하면 사망에 이른다.
질병본부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낙상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조사해 분석했다. 이 결과 2015년 낙상으로 입원한 환자는 약 28만4천명으로 2011년에 비해 16% 증가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서는 2015년 약 12만4천명으로 2011년에 비해 32% 증가했다.
연령이 높을수록 낙상 입원율도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기준 60~69세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해 80세 이상에서는 60대 보다 약 4배 많았다. 2015년 기준 65세 이상 낙상 입원환자 중 남자는 3만1954명, 여자는 9만1741명이 입원하며 여자 낙상입원율이 2배 많았다.
낙상은 계절과 무관하게 ‘주거지’, ‘일상생활 중’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겨울에는 ‘길·간선도로’에서의 발생과 ‘이동 중’ 발생이 많았다. 입원기간은 65세 이상 입원환자 중 절반이 2주 넘게 입원했다. 낙상으로 인한 주요 손상부위는 남자는 외상성뇌손상, 여자는 고관절골절이 가장 많았다. 손상부위에 따른 입원일수는 남녀 모두 고관절골절에서 가장 많았다.
외상성뇌손상은 교통사고, 추락·낙상 등의 충격으로 두개골이 골절되거나 두개골 내부에 손상을 입은 상태, 척추손상은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척추뼈가 납작하게 찌그러지거나 허리를 삐끗해서 요통이 발생하는 상태, 고관절골절은 골반과 다리가 만나는 지점의 관절이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 부러진 상태를 말한다.
겨울철 빙판길 낙상 예방을 위해 길을 나서기 전 물, 눈, 얼음 등을 확인하고 눈길과 빙판길은 이용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가급적 장갑을 끼도록 해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하는 것이 좋다.
빙판길에 넘어졌을 경우 일어날 수 있을 때는 먼저 호흡을 가다듬고 다친 곳이 없는지 살펴본 후에 일어나도록 한다. 만약 일어날 수 없을 때는 119에 연락하거나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도록 한다.
길에서 뿐만 아니라 집 안에서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평소 기본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화장실이나 주방의 물기 제거, 환한 조명을 설치하는 등 집안 환경을 안전하게 만든다. 어지러움이나 두통을 유발하는 약을 복용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약을 복용한다면 일어나거나 걸을 때 더 조심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넘어져 다치는 경우에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고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으므로 집안이나 길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특히 어르신들은 겨울철 외출 시에도 조심하실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