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겨울철에는 추운날씨로 인해 연중 등산객이 가장 적지만 눈꽃과 설경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러 겨울산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어 안전사고에도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추운날씨가 지속되면서 겨울 산행을 할 때는 저체온증과 조난 등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국립공원을 다녀간 탐방객 수는 연평균 3만416천 명에 이른다. 이 중 1월에는 1,814천 명 정도가 다녀가는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겨울 3개월 기간의 월평균 1,597천 명보다 217천 명 많다.
겨울산은 추위와 매서운 바람, 급격한 기상변화 등 악조건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 재난연감 통계에도 최근 5년간 발생한 등산사고는 연평균 7,273건으로 겨울철 월평균 430건의 사고가 발생했고 이 중 1월이 508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고 원인은 대부분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면서 발생하는 실족과 추락이 2,413건(3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이 1,211건(17%), 심혈관 등 개인질환에 의한 사고도 836건(11%)이나 발생했다.
겨울산을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보온용품과 눈길덧신(아이젠) 등 산행용품을 꼼꼼히 챙기고 안전사고 예방요령도 충분히 알아두도록 한다. 등산 전에는 날씨와 등반 소요시간, 등산로 정보 등을 미리 파악한다. 눈이 쌓인 산길은 평소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겨울철에는 해가 일찍 떨어지는 것을 고려해 가급적 오후 4시 이전에 하산하도록 한다.
또한 방한·방풍처리가 된 등산복과 노출된 부위의 체온 손실을 막기 위한 모자와 장갑 등 겨울용 복장을 갖추고 눈길과 빙판길에 대비해 반드시 눈길덧신도 챙겨간다.
산행 중 땀과 눈 등으로 옷이 젖으면 마른 옷에 비해 빠르게 체온을 빼앗겨 저체온증에 걸리기 쉬우니 눈에 젖기 쉬운 양말과 장갑은 여분을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 특히 눈 덮인 겨울 산에서는 평소 아는 곳도 원근감이 떨어지고 등산로 구분이 어려워 조난되기 쉽다. 길을 잘못 들었을 때는 왔던 길을 따라 아는 곳까지 되돌아온다.
아울러 만약의 사고에 대비해 초콜릿, 치즈 등 비상식량과 개인질환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상비약을 챙기고 여분의 휴대폰 배터리를 챙겨간다.
조덕진 행안부 안전기획과장은 “추운 날씨일수록 산에 오르기 전에는 가벼운 몸 풀기로 근육을 충분히 풀어 부상을 예방하고 만일의 사고에 대비해 자신의 행선지를 주변인에게 알리는 것이 좋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