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교육부와 케이티(이하 KT)는 지난 9일 오후 KT 우면연구센터에서 (가칭)한국형 나노디그리 인공지능(AI) 분야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올해 시범 운영되는 ‘(가칭)한국형 나노디그리’는 4차 산업혁명 분야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혁신교육모델이다. 나노디그리 사업 최초로 인공지능 티브이(TV) ‘기가지니’ 등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도해 온 KT가 대표기업으로 참여한다.
‘(가칭)한국형 나노디그리’는 직업 현장과 교육 훈련 간의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업이 교육과정 개설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학습자의 직무능력 습득 여부를 직접 인증하는 교육과정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시범 운영될 예정이다.
(가칭)한국형 나노디그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육기관은 운영의 자율성을 보장받아 자체적으로 보유한 인프라와 노하우를 활용해 학습자와 기업의 요구에 적합한 유연하고 창의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학생, 재직자, 구직자 등 성인학습자는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원하는 시기, 원하는 장소에서 제공받아 직업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직무능력을 단기간에 익힐 수 있다.
교육부는 (가칭)한국형 나노디그리 과정 운영을 희망하는 교육기관의 신청을 받은 후 대표기업과 상시협의체를 구축해 구체적인 교육과정과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 협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올해 상반기 교육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개발이 완료되면 하반기부터 학습자 모집 후 시범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또한 인공지능(AI) 분야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 분야의 대표기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성인학습자의 학습선택권 확대를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등 (가칭)한국형 나노디그리 운영을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한국형 나노디그리 사업에 기업 최초로 KT가 참여하게 된 것을 적극 환영한다”며 “KT를 시작으로 4차 산업혁명 분야의 기업과 교육기관의 참여가 이어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