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6일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미투'운동이 번져나가고 있다"며 "이 부분에 있어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이날 (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 37차 유엔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특히 전시에 자행되고 있는 성폭력은 은밀하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온 범죄"라면서 "우리는 오늘날 전쟁 지역에서 이러한 재앙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 과정에서 '위안부' 문제를 포함해 과거를 기억하고 과거로부터 배워야만 한다"고 말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이어 "80~90세의 할머니들인 위안부 피해자와 생존자들은 지금까지도 존엄과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며 "한국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전의 노력 과정에서 피해자 중심의 접근이 결여되어 있음을 겸허히 인정한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는 피해자와 생존자들의 진술을 존중하면서, 그리고 피해자, 가족들, 시민사회 지원단체들과 협력해 나가면서, 피해자들의 상처 치유와 명예 회복을 지원할 것"이라면서 "동시에 과거의 과오가 반복되지 않도록 역사의 교훈을 배우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이 한반도 평화 정착과 북한인권 문제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이 조속히 재개돼야 한다. 이는 우리의 시급한 관심을 요하는 인도주의적 문제이자 인권문제"라면서 "우리 정부는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재개를 위한 대화에 호응할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우리 국민을 포함한 억류자들의 조속한 석방과 이들의 생사 및 소재 확인을 위한 가족과의 허용 역시 시급한 문제라"고 지적했으며 "북한은 주민들과 그들의 인권 보호와 증진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해야 하며 인권기구들이 권고한 수많은 결의와 권고에 담긴 인권 의무들을 준수해야 한다"며 "우리 정부는 북한이 안보와 인권 분야에서 자신의 생각을 바꾸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지속 촉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