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도로, 철도, 공항 등 공공측량에 드론이 본격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정보지리원은 드론 영상을 기반으로 3월까지 공간정보 제작방식과 성과심사 제도 개선안을 마련해 드론을 이용한 측량을 본격화하겠다고 27일 밝혔다.
공공측량은 국가, 지자체,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각종 도로, 철도, 공항, 수자원, 택지 개발과 단지 조성 공사 등에 기본이 되는 측량성과다. 측량 품질 확보를 위해 항공과 지상 측량에 의한 방식으로 공간정보산업협회에서 성과 심사를 받아왔으나 드론에 의한 공공측량 작업지침과 성과심사 기준이 없어 공공측량에 적용할 수 없었다.
정보원 측은 이번 제도 개선으로 드론을 이용한 측량 방법과 절차가 표준화되면 각종 공간정보 제작과 지형·시설물 측량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드론을 이용한 측량은 비용과 기간 면에서도 두드러진다. 드론 촬영은 기존 항공촬영 대비 약 30%가량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기상의 영향이 적어 신속한 촬영과 후처리가 가능해 전체 공정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보원 측은 연간 약 1,650억 원 규모에 달하는 국내 공공측량 시장 중 기존 항공과 지상측량을 드론으로 대체 가능한 시장은 약 283억 원 규모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기존 지상측량, 유인항공기촬영 등을 통해 공공측량을 실시하던 업체들 대다수가 앞으로 드론을 활용할 의지를 밝히고 있어 공공측량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전환될 전망이다.
정보원 관계자는 “이번 제도 개선은 공간정보산업과 드론 산업이 수요 확대와 기술 개발을 상호 견인하고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