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올해부터 교육 소외 지역인 농산어촌도 문해프로그램 당 학습자수가 5명만 모여도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교육부는 15일 소규모 문해교육에 대한 수요 부응, 개인학습 지원, 생활문해교육 강화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2018년 성인문해교육 활성화 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발표한 2017 전국 성인문해능력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18세 이상 성인 중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수준의 비문해 인구는 7.2%로 약 311만 명으로 추정된다. 지역별 비문해 인구는 농산어촌 16.2%, 중소도시 7.2%, 서울·광역시 5.7% 순으로 농산어촌의 비문해 인구 비율이 대도시에 비해 3배 높았다. 연령별로는 80대 이상 67.7%, 70대 28.7%, 60대 14.2% 순으로 많았다.
또한 무학력자의 한글 학습 경로는 39.3%가 ‘독학 또는 가족으로부터’, ‘기관을 이용한 학습’ 비율은 6.9%로 나타나 비문해자의 학습경로를 고려한 개인 맞춤형 문해교육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올해 문해교육기관 국비 지원기준을 완화하기로 했다. 기관 당 최소 학습자 수 30명에서 10명, 프로그램 당 10명에서 5명으로 낮춰 최대 300만원을 지원한다. 그동안 문해교육 운영기관 국비 지원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해 소외지역·소외계층에 맞는 지원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개인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EBS 2TV를 통한 교육방송과 연계해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작해 운영하고 학습보조자료도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오는 11월부터는 문해능력을 진단해 볼 수 있는 온라인 환경도 구축해 개인별 문해수준에 맞춘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경기, 충남, 대전 3개 지역에 설치된 시·도 문해교육센터를 2022년까지 17개 모든 시·도로 설치하고 미설치 지역에는 조속한 설치를 위한 컨설팅, 예산을 지원한다. 문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을 위해 2012년부터 추진된 9월 ‘문해의 달’ 선포식과 전국 성인문해교육 시화전도 계속 개최된다.
교육부 측은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누적 수혜자 30만 명, 올해부터 2022년까지 34만 명을 추가로 지원해 성인문해교육 누적 수혜자 64만 명 달성을 목표로 희망하는 모든 국민이 문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