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화재나 해양사고 등에서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재난·치안용 드론’이 개발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방청, 경찰청, 해양경찰청은 30일 ‘2018년 국민안전 감시, 대응 무인항공기 융합시스템 구축, 운용 사업추진위원회’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2020년까지 490억 원을 투입해 재난과 치안현장에서 현장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고 초동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드론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우선 터널, 대형물류창고 등 암전상황과 붕괴위험으로 소방대원의 2차 인명손실이 예상되는 실내 지역에 드론이 투입된다. 주변 환경을 인식해 비행하면서 건물 내 곳곳을 촬영한 영상을 지상통제장비와 상황실로 실시간 전송해 구조대원의 안전 확보는 물론 신속한 후속 대응을 지원한다.
또한 사고가 발생하면 신고 접수 직후 대원보다 빠르게 드론을 출동시켜 현장상황 영상을 출동대원들과 상황실로 실시간 전송한다. 화재사고의 경우 총 2기의 드론이 출동한다. 1기는 대형소방차 출동 지원을 위해 소방차량이 사고현장까지 가는 경로의 교통상황을 촬영한다. 다른 1기는 화재현장의 영상을 상황실로 실시간 전송하면서 필요시 소방장비 투하 같은 특수임무를 수행한다.
아울러 불법조업, 선박사고 등 빠른 해양경비정 출동이 필요한 상황에서 탐조등과 스피커를 장착한 드론도 투입된다. 불법조업의 경우 드론이 선박을 탐지하고 수동조종으로 선박에 근접해 선명(船名), 조업형태, 허가 번호판 등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선박사고의 경우 인명구조를 위해 구명환을 투하하거나 연안의 유류유출 해역을 촬영해 중앙상황실로 실시간 전송해 신속한 방제계획 수립을 지원하게 된다.
산업부 측은 “관계기관은 다양한 재난현장에서 직접 임무를 수행하는 소방, 경찰, 해경 담당자 의견수렴을 통해 필요한 임무성능을 반영한 상세설계를 빠른 시일 내 완료할 것이다”며 “올해 하반기부터 2020년까지 재난현장용 드론을 개발해 성능평가, 재난현장 시범운용을 거쳐 시스템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높일 방침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