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트데이 박천련 기자] 여성가족부는 최근 사회 각 분야로 확산되고 있는 ‘미투 운동’을 계기로 이주여성들의 성희롱·성폭력 피해실태와 정책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주여성들은 언어장벽과 체류신분 상 어려움 등으로 성희롱·성폭력 피해 신고와 정부의 피해자 보호·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여가부는 4일 오전 서울 광화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미투 공감·소통을 위한 제4차 간담회’를 ‘이주여성 성희롱·성폭력’ 주제로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전국이주여성쉼터협의회, 다누리콜센터 등 현장단체와 유관기관 관계자, 성폭력 피해자 지원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이주여성 성희롱․성폭력 실태와 이주여성으로서 경험하는 이중 차별의 양상을 짚어보고 향후 보완돼야 할 사항을 논의했다.
정현백 여가부 장관은 “이주여성은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체류자격이나 경제적 불안정 등으로 성희롱․성폭력 피해를 외부에 알리기가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며 “이주여성이기 때문에 성희롱․성폭력 피해 지원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사건이 미흡하게 처리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계부처와 이주여성의 특성과 상황을 보다 면밀하게 반영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