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우리나라 하구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물고기는 회유성 어류인 숭어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전국 하구 325곳에서 가장 많이 출현한 물고기 80종의 정보를 담은 ‘강과 바다의 소통, 물고기가 전하는 하구 이야기’ 도감을 최근 발간했다.
하구는 강과 바다의 경계부터 바다가 만조일 때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상류까지의 구간을 말한다.
가장 많은 하구에서 출현한 물고기는 회유성인 숭어로 325곳의 하구 중 229곳에서 출현했다. 숭어는 강 하구나 연안의 표층을 집단으로 유영하며 치어들은 강 하구나 하천 하류에서 생활하고 그 후에는 바다로 이동한다.
또한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크고 우리나라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하는 붕어가 213곳의 하구에서 출현했다. 이어 민물검정망둑으로 158곳의 하구에 출현했다. 이 물고기는 암컷이 산란한 알을 수컷이 부화할 때까지 보호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수록된 80종 안에는 꺽지, 얼룩동사리 등 한국고유종 13종이 포함돼 있는데 이중 참갈겨니, 각시붕어 등 잉어목 잉어과 물고기가 7종을 차지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에는 Ⅱ급 가시고기가 23곳에 출현하며 유일하게 80종 안에 44위에 올랐다. 이 물고기는 일생을 바다로 이동하지 않고 민물에서만 지내며 물속에 사는 곤충이나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생태계 교란종인 배스와 블루길은 각각 37곳과 32곳에 출현해 32위와 37위에 올랐다.
아울러 도감에는 80종의 물고기를 출현 순서대로 분류해 한눈에 알기 쉽도록 수록했다. 물고기 종별 생태특성, 주요 출현 하구, 분포 지역, 물고기의 정식 명칭 외에도 지역에서 방언으로 불리는 이름 등 다양한 정보도 소개했다. 형태가 유사한 물고기와의 구별방법을 사진을 통해 제시해 이해를 돕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도감을 통해 하구에 서식하는 물고기에 대한 정보를 국민들에게 알기 쉽게 제공하고 이해도를 높여 수생태계 건강성 보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