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우윤화 기자] 대형마트가 소비자와 함께 비닐봉투 사용과 과대포장을 줄이기로 했다.
환경부는 농협하나로유통, 롯데마트, 메가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5개 대형마트 사업자를 비롯해 ㈔소비자시민모임과 함께 ‘1회용 비닐쇼핑백·과대포장 없는 점포 운영 자발적 협약식'을 26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개최했다.
환경부와 5개 대형마트는 마트 내에서 1회용 비닐 사용과 과대포장을 줄이는 친환경 소비문화를 정착시켜 자원을 절약하고 국민적 실천을 확산하기 위해 이번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김은경 환경부 장관, 5개 대형마트 사업자 대표, 소비자시민모임 부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1회용 비닐봉투 사용량이 2013년 192억 개에서 2014년 212억 개, 2015년 211억 개 등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됐다. 특히 마트에서 식료품류를 별도로 한 번 더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비닐은 규제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1회용 봉투·쇼핑백은 대규모 점포, 도·소매업소에서 무상제공이 금지되고 있다. 그러나 규제대상에서 제외돼 있는 종이봉투나 속비닐 등은 법적인 관리수단이 없어 쉽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식품 포장용 ’발포 합성수지(스티로폼)‘ 재질의 받침대는 색상이 다르거나 코팅된 경우가 많아 재활용되기 어렵다.
이번 자발적 협약 체결을 계기로 대형마트는 매장 내 속비닐 사용량을 50% 이상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속비닐 장소와 크기를 축소할 계획이다. 또한 재활용이 어려운 유색 또는 코팅된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식품 받침대 사용을 지양하고 무색, 무코팅 받침대를 사용하도록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이병화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은 “비닐봉투 등 1회용품의 사용을 줄이고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해서는 생산·유통업계의 노력과 정부 지원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소비자들도 환경보전과 자원순환사회 구현을 위해 적극 참여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