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일과 삶의 균형이 높을 수록, 가족 구성원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국민 삶의 질 여론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종합적인 삶의 질 만족도는 연령별로 19~29세가 6.8점으로 가장 높았고 30대 6.6점, 40대 6.4점, 50대 6.3점 순이었다. 60대 이상은 5.9점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만족도는 6.0점으로 4인 가구의 6.6점, 5인 이상 가구의 6.3점보다 훨씬 낮았고 2인 가구의 6.2점보다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가구 구성원별로는 1인 가구는 부부 가구 6.2점, 부부+자녀 가구 6.5점, 부모+부부+자녀 가구 6.6점보다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 만족도는 월 100만 원 미만 소득층은 5.5점으로 300만~399만 원(6.3점), 600만~699만 원(7.2점) 보다 각각 0.8점, 1.7점이 낮아 ‘가구소득’과 ‘삶의 질 만족도’는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과 생활의 균형 '워라밸'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10점 만점에 평균 점수가 6.2점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일과 생활의 균형 정도가 ‘8점 이상’이라고 응답한 국민의 삶의 질 만족도는 7.7점으로 종합 평균 6.4점 보다 높았다. ‘2점 이하’라고 응답한 국민의 평균점인 2.8점보다 월등히 높아 ‘일과 생활의 균형’과 ‘삶의 만족도’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줬다.
분야별 삶의 질 만족도가 높은 부문은 가족관계(7.9점), 건강·의료(6.7점), 자녀양육·교육, 주거환경(6.4점) 순이었다. 일자리·소득, 사회보장·복지, 자연환경·재난안전(5.8점), 문화·여가생활(5.6점) 만족도는 평균점을 밑돌았다.
아울러 국민들은 건강·의료(57.2%), 일자리·소득(49.4%), 사회보장·복지(30.2%), 자녀양육·교육(28.5%), 자연환경·재난안전(27.3%) 등으로 걱정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건강·의료는 60대 이상(71.7%), 일자리·소득은 19~29세(72.9%)에서 많았다.
현재보다 시간적 여유가 더 생긴다면 어떤 분야에 활용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자기계발·취미·스포츠 등(38.9%)’, ‘자신의 휴식(24.4%)’, ‘가족(23.2%)’이라고 답해 일보다는 자신 또는 가족을 위해 사용할 생각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여론조사는 삶의 질을 구성하는 가족관계, 건강·의료, 자녀양육·교육 등 8개 부문에 대해 국민들의 만족도와 관심사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5월 15일부터 21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