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5일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메시지에서 "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이다"라면서 "UN이 선정한 이번 환경의 날 공식 주제는 '플라스틱 오염으로부터의 탈출'이고 우리나라에서는 '플라스틱 없는 하루!'로 정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플라스틱과 일회용품은 참 편리하지만, 편리함 뒤에 폐기물이 됐을 때는 우리 후손들과 환경에 긴 고통을 남긴다"며 "책상 위를 둘러보니 플라스틱이 참 많다. 다 치우면 업무를 볼 수 없을 것 같다. 어떻게 플라스틱 없는 하루를 보낼 수 있을까 걱정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러나 환경보호는 나의 작은 실천에서부터 시작된다. 비닐봉지 사용만 줄여도 원유사용이 줄고,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도 줄어든다"면서 "'지구환경보호'라 하면 '북극곰 살리기' 같이 전 지구적인 일이 떠오르지만, 결국 우리의 생활습관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늘 하루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하루를 보냈는데 참 좋더라!' 하는 경험이 우리에게 남았으면 좋겠다. 진달래꽃이나 바다 고동으로 점심을 때우던 어린시절의 청정 자연이 떠오른다"며 "좋은 경험과 작은 습관이 우리에게 익숙해지고, 아이들에게도 남겨진다면, 그게 지구를 살리는 길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우리 국민들의 환경의식은 세계 최고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같이, 국민 참여 없이는 결코 성공할 수 없는 일도 우리나라에서는 가능했다"면서 "일회용품을 덜 쓰고 장바구니도 열심히 들고 다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그런데 국민들이 노력한 만큼 환경은 썩 좋아지지 않고 있다. 상수원 녹조, 미세먼지가 계속되고 있다"며 "대통령으로서 참 미안한 일이다.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해 환경정책에 더 힘을 싣겠다. 국민들께서도 작은 실천으로 함께 해주시길 바란다"고 동참을 당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플라스틱을 다 치우면 책상이 텅 빌 것 같다. 우리가 예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나의 '조금 불편함'이 우리 모두의 편리함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고 말했다.
한편 1972년 6월 5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113개국이 모여 '세계 환경의 날'이 제정됐다.
이후 인간환경선언이 발표되었고 UN산하 환경전문기구인 유엔환경계획(UNEP)을 설치하기로 결의했으며 이 결의에 따라 1987년부터 매년 '세계환경의 날'에는 그해의 주제를 선정 발표토록 하며, 대륙별로 돌아가면서 한 나라를 정해 관련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