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노승희 기자] 지난해 635개 사업장에서 배출한 대기오염물질은 연간 36만1,459톤으로 전년에 비해 4만 218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4일 굴뚝 자동측정기기가 부착된 발전업, 시멘트제조업, 제철·제강업 등 635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2017년 대기오염물질 연간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총 36만1,459톤으로 이 중 질소산화물이 67%인 24만2,441톤을 차지했다. 이어 황산화물 10만9,339톤(30%), 먼지 6,533톤(2%), 일산화탄소 2,631톤(1%)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발전업이 16만8,167톤(47%)로 가장 많고 시멘트제조업 7만7,714톤(22%), 제철제강업 5만9,127톤(16%), 석유화학제품업 3만6,574톤(10%), 기타 업종이 1만9,877톤(5%)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충청남도 8만7,135톤(24%), 강원도 5만5,409톤(15%), 전라남도 5만411톤(14%), 경상남도가 4만6,447톤(13%) 등으로 나타났다. 시멘트제조 사업장이 많은 강원도의 경우 사업장 수는 26개에 불과하나 오염물질 배출량은 5만5,409톤으로 1개 사업장 당 배출량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드러났다. 반면 경기도는 사업장 수가 152개로 충청남도 61개에 비해 2.5배 많지만 대기오염물질 다량 배출 사업장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1만6,910톤(5%)으로 나타났다.
2016년 측정결과와 비교해 지난해에는 사업장 수가 62개가 늘어난 반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4만218톤 감소했다. 전년 대비 대기오염물질이 감소한 시·도는 충청남도 2만2천톤, 경상남도 1만2천톤, 울산광역시가 5천톤으로 나타났다.
충청남도의 보령화력 1만톤, 경상남도의 삼천포화력 1만2천톤 등은 지난해 6월 한 달간 실시된 노후 화력발전소 가동중단과 방지시설 개선으로, 울산광역시의 경우 울산화력 등 가동률 감소에 따른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반면 강원도는 한라시멘트 1천톤 생산량 증가와 지에스동해화력 1천톤, 삼척화력 1천톤 가동 등으로 오히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전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 대해 2020년부터 한층 강화된 배출허용기준을 적용하고 먼지와 황산화물에만 부과되던 대기배출부과금을 질소산화물에도 부과하는 등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관리도 강화할 예정이다.
신건일 환경부 대기관리과장은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관리 정책 추진에 만전을 기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