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올해 7월 항공여객이 전년 동월 대비 6.2% 증가한 995만 명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7월 국제여객은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했으나 국내여객은 전년 동월 대비 4.9% 감소, 항공화물은 전년 동월 대비 3.6% 증가했다고 29일 발표했다.
국제선 여객은 여름방학에 따른 해외여행 수요 강세, 저비용항공사 공급석 확대(20.7%)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한 730만 명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미주노선을 제외한 중국(27.3%), 유럽(12.5%), 동남아(9.8%), 일본(6.7%) 등 모든 노선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노선의 경우 142만 명을 기록해 지난해 전년 동월 대비 112만명 증가했으나 2016년 7월 204만명에 비해 여전히 감소세를 보였다.
공항별로는 정기노선 증편과 노선 다변화로 무안(270.5%), 청주(128.8%), 양양(83.1%), 제주(77.8%) 등 전 공항에서 성장세를 나타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가 전년 동월 대비 4.4% 증가하고 국적 저비용항공사의 경우에는 전년 동월 대비 17.4% 증가해 국적사 분담률은 68.4%를 기록했다.
국내선 여객은 공급석 감소, 탑승률 하락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4.9% 감소한 265만 명을 기록했다. 공항별로는 울산(54%)과 인천(4.6%)공항에서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으나 운항감편 영향으로 청주(-10.6%), 김포(-6.4%), 김해(-5.9%), 제주(-5.7%)공항 등에서는 감소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의 국내여객 운송량이 108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9% 감소했으나 저비용항공사는 157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0.5% 증가하면서 59.2%의 분담률을 기록했다.
항공화물의 경우 IT, 반도체, 기계, 석유화학 등의 수송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3.6% 증가했다. 국제화물은 중국(7.3%), 동남아(5.1%), 일본(3.7%) 등 전 지역에서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4.4% 성장한 35만 톤을 기록했다.
국내화물은 제주(-8%), 내륙노선(-3.5%)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7.5% 감소한 2.2만 톤을 기록했다.
국토부는 “국내여객 감소와 유료 할증료 인상 등의 부정적인 요인은 있으나 여름 성수기에 따른 노선 다변화와 해외 여행수요 증가 등으로 항공여객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