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우윤화 기자] 해외건설 수주액 누계가 5일 8천2억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6월 7천억 달러 달성 이후 3년 만이다.
지역별로는 중동 시장 수주가 53.8%(4,303억 달러)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아시아가 32.0%(2,560억 달러) 등으로 많았다.
저유가 등으로 중동에서의 수주가 줄면서 지난 7천억 달러 수주 이후로는 아시아에서의 수주가 중동보다 많았다. 누적 기준으로도 중동의 수주 비중은 1.7%p 하락하고 아시아는 1.9%p 상승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공종별로는 플랜트가 전체의 57.7%(4,617억 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건축과 토목이 각각 19.3%(1,546억 달러)와 18.5%(1,474억 달러)를 차지해 공종별 비중은 지난 7천억 달러 수주 대비 큰 변동이 없었다.
최근 수주 동향을 보면, 해외건설은 2014년 이후 수주가 급감해 2016년 최저점을 기록했고 지난해부터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주력시장인 중동·플랜트의 발주량이 감소함에 따라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민관협력 투자개발형 사업(Public Private Partnership) 발주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등 시장이 변화하고 있어 민관협력 투자개발형 사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우리 기업은 참여에 신중한 모습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민관협력 투자개발형 사업 수주를 위해 새롭게 출범한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민간·공공·정부가 협력하는 동반진출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