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일 제70주년 국군의 날을 맞아 성남 서울공항에서 북한지역에서 발굴된 6·25전쟁 국군전사자 유해를 봉환하는 행사를 주관했다.
이번에 봉환하는 64위의 국군전사자 유해는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북한의 함경남도 장진, 평안남도 개천지역 등에서 북·미가 공동으로 발굴한 유해 중 미 하와이에서 한·미간 공동감식결과 국군전사자로 판명돼 68년만에 조국으로 돌아오게 됐다.
이 국군전사자 유해는 서주석 국방차관이 지난달 28일 미국 하와이에 위치한 미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로부터 직접 인수받았으며, 우리 공군 특별수송기를 이용해 우리 공군 특별수송기를 이용해 국내로 지난달 30일 오후 송환됐다.
정부는 64위의 호국영웅을 송환하는 특별수송기가 우리 영공을 진입할 때부터 F-15 편대 및 FA-50 편대로 하여금 성남 서울공항까지 호위하는 등 최고의 예우를 갖추어 맞이했다.
행사는 문재인 대통령이 모든 유해에 대해 6·25참전기장을 직접 수여하고, 묵념 및 헌화, 조총발사 등의 의식 행사와 함께 국군전사자들의 ‘혼’을 위로하기 위한 추모공연이 함께 진행됐다.
6·25전쟁 당시 미 3사단 소속 카투사로 장진호 전투에 참여했던 정일권(86세) 노병(老兵)은 전우들의 귀환소식에 "68년 전에 장진호 전투에서 함께 싸웠던 전우가 이제라도 조국의 품에서 편히 쉴 수 있어 다행"이라면서 "하루빨리 DMZ뿐만 아니라 북한지역에서의 유해발굴이 진행되기를 소망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조국으로 돌아온 64위의 유해는 봉환행사 이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으로 봉송됐다. 이후 신원 확인을 위한 정밀감식과 유전자(DNA) 검사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밀감식결과 신원이 확인된 유해는 유가족에게 전달 후 국립묘지에 안치된다.
한편 국방부는 그간 총 28위의 유해를 미국으로부터 인수받아 이 가운데 5위를 유가족에게 돌려보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