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세종대왕 즉위 600주년과 572돌 한글날을 기념해 여주 세종대왕 영릉(英陵)을 찾았다.
현직 대통령이 세종대왕릉에 참배하는 것은 지난 1994년 김영삼 전 대통령 이후 24년만이다.
문 대통령은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한글 창제의 뜻‘, ’한글의 가치와 슬기'를 새기기 위해 한글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있는 사람들과 함께 영릉을 방문하게 됐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이번 행사는 앞으로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을 더욱 발전시키자는 의미를 담았으며 문 대통령은 먼저 효종 영릉(寧陵)을 참배한 후, '왕의 숲길'을 걸어 세종 영릉을 참배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1688년 숙종, 1730년 영조, 1779년 정조 임금도 효종 영릉과 세종 영릉을 차례로 참배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들이 두 릉 사이를 이동할 때 사용한 약 700m의 길을 정비해 개방한 것이 '왕의 숲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훌륭한 문학작품, 한글 디자인, 우리 말글로 지은 음악 등으로 한글의 가치를 높여준 데에 감사의 뜻을 표했으며,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적인 애정과 관심을 당부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미술가 임옥상, 시인 박준, 대중음악 가수 이수현, 디자이너 송봉규, IT분야 연구원 김준석 등과 한글을 활용해 다양한 창작 활동을 하는 분들과 아나운서 허일후, 동탄 국제고등학교 학생 박동민,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에서 우승한 외국인 소라비(인도), 몰찬 야나(벨라루스) 등 한글을 아끼고 사랑하는 분들과 함께 해 그 의미를 더했다.
문 대통령은 일반 관람객들과 함께 왕의 숲길에서 열린 '작은 음악회'에서 한글 창제를 기리는 전통 음악을 감상했으며, 가수 이수현 씨도 노래를 불러 분위기를 더했다.
세종대왕 영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에 따른 후속조치로 복원·정비 공사가 진행 중이며 문 대통령은 영릉 참배 후 복원공사 현장에 들러 시찰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