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는 시장이나 병원 주변에서 도로 횡단 중에 많이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
행정안전부는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지자체,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등과 함께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특별점검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지난해 기준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4,185명 중 보행 사망자는 1,675명(40%)으로 나타났다. 그 중 노인 보행 사망자는 906명(54%)으로 노인들이 보행자 교통사고에 가장 취약한 실정이다.
지난 3년간 노인 교통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한 장소는 시장 17개소(35%), 병원 주변 12개소(25%), 대중교통시설 8개소(16%) 등으로 76%를 차지했다.
이번 점검 대상으로 선정된 49곳 중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 부산시 부산진구 부전시장 주변으로 총 18건이었다. 특히 부산 부전시장, 서울 청량리시장, 청주 육거리시장 등 9개소는 최근 3년간 교통사고가 중복으로 발생했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에서 발생한 전체 323건에 대한 사고발생 유형을 보면 ‘도로 횡단 중’이 197건(6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길 가장자리 통행 중’ 23건, ‘차도 통행 중’ 20건, ‘보도 통행 중’ 12건 등으로 발생했다.
가해 운전자 법규 위반사항은 ‘안전운전 불이행’이 219건(68%)으로 가장 많고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 74건, ‘신호위반’ 14건 등이었다.
계절별로는 추운 날씨로 인해 행동이 둔해지는 11월부터 1월 겨울철(93건, 29%)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시간대별로는 활동인구가 많은 낮 시간인 오후 12시에서 2시(50건, 15%) 사이에 사고율이 가장 높았다.
아울러 노인 행동특성을 고려해 무단횡단 방지시설, 횡단보도 설치, 보도설치, 신호시간 조정 등 모두 295건의 시설 개선사항이 발견됐다. 행안부는 단기간 개선이 가능한 224건(76%)은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정비계획을 수립해 내년 상반기까지 개선하도록 할 방침이다. 차로폭 축소와 정류장 이설 등과 같이 예산이 많이 소요되거나 정비 기간이 오래 걸리는 71건(24%)에 대해서는 내년 연말까지 개선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류희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노인 보행 사망자가 전체 보행 사망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정부의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노인 교통사고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사고 다발지역에 대한 정례적 진단과 정비를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