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세종 자율차 서비스, 대구 지능형 의료기기, 충남 수소에너지, 부산 해양 ICT 융합 등 지역별 대표 산업이 육성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5일 제9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정 및 육성계획’을 안건으로 상정했다.
국가혁신클러스터는 14개 시·도별로 혁신도시, 산업단지 등 지역에 존재하는 핵심거점들을 연계해 조성하는 ‘혁신거점’ 육성정책이다.
시·도별 대표 산업을 보면 울산·경북·세종·경남은 ‘미래차항공’ 분야로 각각 초소형 전기차, 전기차 부품, 자율차 서비스, 항공 부품을 육성한다.
대구·강원·전북·제주는 ‘바이오헬스’ 분야로 지능형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 농생명, 화장품과 식품 산업을, 충남·광주·전남·충북은 ‘에너지신산업’ 분야로 수소에너지, 에너지와 미래차, 에너지신산업, 에너지 첨단 부품을 키울 계획이다. 부산과 대전은 ‘정보통신기술(ICT)융합’ 분야로 해양 ICT융합, 스마트 안전산업을 육성한다.
산업부는 국가혁신클러스터의 혁신 성장을 견인할 지역 중핵기업 182개 기업을 선정하고 2022년까지 투자를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또한 국가혁신클러스터에 투자하는 기업에는 보조금, 규제혁신, 금융, 재정 등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부지매입액의 최대 40%, 설비투자비의 최대 24%까지 보조금을 지원한다. 입주기업의 인·허가는 외국인투자지역 수준으로 신속히 처리 받게 된다. 또한 입주기업 대상 특별 금융상품 출시와 정부 연구개발(R&D) 성공 기업에 대한 사업화 자금 저리융자 지원, 혁신프로젝트 예산도 올해 524억원에서 내년 1,093억원으로 지원한다.
국가혁신클러스터는 지역별 나눠주기식 예산 지원방식에서 벗어나 지역이 주도해 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되 사후평가를 통해 우수한 지역을 집중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지역별 국가혁신클러스터 종합성과를 단계별로 평가해 글로벌형, 일반형, 미흡형으로 구분하고 예산을 최대 40% 차등 지원해 시도별 성과경쟁을 유도할 계획이다.
산업부 측은 “국가혁신클러스터 정책 추진을 위해 2018~2019년 예산 1,617억 원을 투입하고 동 사업을 통해 2024년까지 신규고용 1만785명, 사업화 매출 2조8천억 원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