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2027년까지 멸종위기 야생생물 25종을 보전하기 위한 서식지 개선이 본격화 된다.
환경부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 2018~2027(이하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멸종위기종 증식·복원에 앞서 서식지를 사전에 평가하고 적합한 서식여건으로 되돌리기 위한 개선사업으로 진행한다.
먼저 산줄기, 하천, 습지 등 전국의 멸종위기종 서식지를 평가해 서식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서식환경 조사를 통해 종별 위협요인을 분석해 외래종, 오염물질, 인간간섭, 올무 등을 제거하고 밀렵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도로관리청 등이 생태통로를 설치하기 전에 환경부와 사전 협의하도록 하고 야생동물 찻길 사고 현황을 자료로 만들어 동물이 자주 다니는 길목에 생태통로, 유도방벽(펜스) 등 저감 대책이 적용되도록 할 계획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체계적인 복원도 실시된다. 장수하늘소, 한라송이풀 등 64종을 복원대상종으로 선정해 기초조사와 복원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64종 중 복원 중인 반달가슴곰을 비롯해 금개구리, 나도풍란 등 복원이 시급한 25종을 ‘우선 복원 대상종’으로 정해 서식지 개선과 복원 사업을 병행할 계획이다.
멸종위기종 복원을 지휘할 핵심기관인 ‘멸종위기종복원센터(이하 복원센터)’가 31일 경북 영양에서 개원했다. 복원센터는 멸종위기종 분포조사에서 서식지 보전, 기술개발, 복원, 사후관리 전 과정에 대한 총괄기능을 맡는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 개원으로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20년까지 주요 종 복원사업을 현행과 같이 수행하고 이후에는 야생적응훈련, 야생방사, 관찰 등 서식지와 현장 관리 기능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아울러 남북 멸종위기종 보전 협력을 통해 한반도의 지속적인 평화협력도 지원한다. 남북 비무장지대(DMZ) 생물상 조사, 호랑이 서식환경 보호, 대륙사슴·따오기·반달가슴곰 교류 등 한반도 위기종 보전 협력사업에 대해서도 논의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전문가와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멸종위기종 보전 정책위원회’를 운영해 종 보전 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계획이다.
정종선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앞으로 10년간 서식지 개선과 종 복원을 위한 세부과제들을 잘 이행해 한반도의 많은 생물들이 비무장지대(DMZ)에서 만나고 백두대간 생태축을 따라 안전하게 남북을 서로 오가며 공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