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장완흉상어, 로후, 브라이드고래 등에게 우리말 이름이 생겼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법적 관리대상 생물 3,426종에 우리말 이름(국명)을 새로 붙였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 자생생물 4만9,027종 가운데 약 27%인 1만3,138종이 국명이 없는 상태다.
이번에 국명을 새로 붙인 대상은 한반도 고유종 128종, 국제적 멸종위기종 1,223종, 위해우려종 127종, 금지병해충 59종, 관리병해충 1,478종, 국가생물종목록 411종 등이다.
한국 고유종과 국제적 멸종위기종에 속하는 생물은 큰우리맵시벌, 한국납작먹좀벌, 큰지느러미흉상어, 멸치고래, 넓적다리독개구리, 큰입술잉어 등으로 우리말 이름을 갖게 됐다.
큰우리맵시벌, 한국납작먹좀벌 등은 한국 고유종임을 드러낼 수 있도록 ‘우리’, ‘한국’ 등의 접두어를 맵시벌과, 먹좀벌과 등 해당 곤충의 과명에 연결했다.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가 긴 ‘장완흉상어’는 한자어 ‘장완(長腕)’을 풀이해 ‘큰지느러미흉상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브라이드고래’는 주요 먹이인 멸치와 함께 이동하는 생태 특성을 고려해 ‘멸치고래’라고 이름 지었다.
라틴어 학명 발음에 따라 적은 ‘알로바테스 페모라리스(Allobates femorali)’는 ‘넓적다리독개구리’로, 영명을 발음대로 표기한 ‘로후(Rohu)'는 ‘큰입술잉어’로 국명을 고쳐 이름만 듣고도 형태나 종류를 짐작할 수 있도록 했다.
우리말 이름이 없던 관리병해충과 금지병해충 1,537종에도 새롭게 이름이 붙었다. 긴턱하늘소는 종소명인 라틴어 ‘만디블라리스(mandibularis)’의 의미처럼 턱이 길다는 특징을 나타냈고 넓은잎해란초는 자생 식물 해란초에 비해 잎이 넓다는 특징을 반영했다.
아울러 한반도 고유종과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속하는 생물 1,951종에 대해서는 영명도 새로 부여했다. 한반도 고유종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물고기 ‘모래주사’는 한반도 남부에만 분포하는 서식지 특성을 반영해 ‘코리언 사우던 거전(Korean southern gudgeon)’으로 영명을 새로 붙였다. 한반도 고유종으로 제주에 생육하는 해조류 ‘제주개서실’은 ‘제주 카르티라지 위드(Jeju cartilage weed)’로 새롭게 명명했다.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생물종의 생태적 습성, 형태, 서식지 등의 정보를 토대로 이름을 지었다. 새로 붙여진 이름을 통해 생물자원 관리에 도움이 됨은 물론 사회적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