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그동안 국정과제위원회와 대통령 자문위원회는 우리 정부의 국정 기조를 기획하고 설계해왔다"며 "포용국가 비전전략을 만들었고 국가균형발전, 일자리 로드맵, 4차 산업혁명, 자치분권, 신북방 등 분야별 종합계획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집현실에서 열린 국정과제를 추진하는 직속기구 및 대통령 자문기구 위원들과 함께한 오찬 간담회 자리에서 "개헌안이나 대입제도개편안과 같이 국민적 관심이 큰 사안에 대해서는 위원회가 중심이 되어서 국민들 의견을 수렴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해 주셨다"며 "지금까지 각 위원회가 국정과제의 큰 지도를 그려주셨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이제 정부가 해야 할 일은 그 지도에 따라 다함께 잘 사는 포용국가를 만들어 가는 길"이라면서 "우리 정부는 출범 이후 정의로운 나라의 토양 위에 번영의 나무를 심고자 노력해왔다. 그 비전이 국민 삶 속에 뿌리내리고 열매를 맺어야 한다. 그 열매를 추수해서 소수만이 혜택을 보는 게 아니라 온 국민이 나누는 포용성장이며 포용국가 입니다"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특별히 하나 더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지금 우리가 포용적 성장, 지속가능발전, 사람 중심 이렇게 고민하고 있는데 이것이 대한민국에서만, 문재인 정부에서만 특별한 가치로 고민하고 있는 게 아니라는 사실"이라면서 "동시대적 고민이랄까 국제사회와 세계 모든 나라의 공통된 고민이고 관심"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올해만 해도 아셈(ASEM·아시아유럽정상회의), 그 다음에 아세안 관련된 여러 다자회의,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의까지 다녀왔는데, 모든 회의의 중심적인 의제는 포용적 성장이었다"며 "지금까지의 성장 결과, 심각해진 경제 불평등과 격차 그런 것을 다함께 우려하고, 또 앞으로 4차 산업혁명, 디지털경제가 심화될 경우 예상되는 격차의 확대를 어떻게 해결할 건가, 그 해법으로 포용적 성장, 그 다음에 지속가능 발전을 말하고, 또 그 속에서 사람 중심을 논의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제가 좀 있으면 아르헨티나에서 열리는 G20회의에 가게 된다"며 "G20 의제도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대화, 그리고 네 차례의 회의가 있는데 첫 번째 회의 의제가 사람을 우선하기라는, 그런 것이 첫 번째 과제"라며 "내년도 칠레에서 열리는 에이펙의 의제도 길게 말하면 '사람을 연결하고, 미래를 건설하라'라는 건데 한마디로 압축해서 표현하면 사람 중심, 피플 센터(people center)라고 표현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그 고민이 우리만 특별히 동떨어져서 특별한 무슨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게 아니라 전 세계가 함께 하는 고민이다"며 "우리가 제대로 해내고 성공시켜 나간다면 오히려 이것이 전세계에 우리가 제시할 수 있는 아주 모범이 되고 모델도 될 수 있다는 점까지도 함께 염두에 두시면서 논의를 해 달라"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앞으로 이렇게 각 위원회나 자문위원회 회의에 참석하는 노력을 계속하겠다. 또 그와 별개로 이렇게 위원장님들과 함께 모여서 소통하는, 그래서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이런 기회도 계속 가지면서 소통의 노력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