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11월 비수기 시장이 커졌다.
11월 전체 관객 수는 전년 동월 대비 30.3%(399만 명) 증가한 1,715만 명을 기록했고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9.5%(410억 원) 늘어난 1,449억 원을 나타냈다. 이는 11월 전체 관객 수와 매출액으로는 역대 최고치다.
한국영화 관객 수는 전년 동월 대비 27.7%(178만 명) 증가한 821만 명을 기록했고 매출액은 37.1%(185억 원) 늘어난 683억 원을 나타냈다.
외국영화 관객 수는 전년 대비 32.9%(221만 명) 증가한 894만 명, 매출액은 41.7%(225억 원) 늘어난 766억 원을 나타냈다.
한국영화와 외국영화 관객 수가 동반 상승한 것은 <보헤미안 랩소디>와 <완벽한 타인>이 11월 한 달간 각각 531만 명과 473만 명을 동원하며 쌍끌이 흥행에 성공한 덕분이었다.
같은 날 또는 같은 주에 개봉한 2편의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는 이른바 '쌍끌이 흥행'은 주로 성수기에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그런데 올해는 이례적으로 성수기가 아닌 가을 비수기에 쌍끌이 흥행에 성공한 영화들이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앞서 언급한 <보헤미안 랩소디>와 <완벽한 타인> 뿐만 아니라 10월 3일 동시 개봉한 <베놈>(누적 388만 명)과 <암수살인>(누적 376만 명)까지 쌍끌이 흥행에 성공한 바 있다. 비수기 쌍끌이 흥행은 비수기 시장의 성장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사건이다.
박스오피스 모조(Box Office Mojo)에 따르면, <보헤미안 랩소디>는 지난 12월 2일 집계 기준으로 북미와 영국 다음으로 한국이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보헤미안 랩소디>가 유독 한국에서 인기를 얻은 이유는 한국 관객이 선호하는 실화 영화이자 음악 영화라는 점에 있다.
록그룹 퀸에 대한 향수를 지닌 중장년층 여성 관객이 초반 흥행을 견인하고 이후에 빠른 입소문을 바탕으로 20대~30대 관객층이 합류하며 박스오피스 역주행을 가능케 했다.
<완벽한 타인>의 경우는 근래의 주류 코미디가 남성 서사였던 것과 달리 이 영화는 ‘여성’과 ‘감성’을 부각시켜 여성 관객층의 지지가 흥행의 밑바탕이 된 것으로 분석했다. 74만 명으로 흥행 순위 5위에 오른 <국가부도의 날>도 여성 캐릭터가 극을 이끄는 영화로 올 가을 비수기에는 여성 캐릭터 비중이 큰 한국영화들이 여성 관객층의 지지를 얻으며 선전했다.
독립·예술영화에는 종교영화 <바울>이 20만 8천 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다큐멘터리 <폴란드로 간 아이들>은 3만 3천 명으로 2위에 올랐다. 독립·예술영화 시장에서 한국 극영화는 한동안 침체된 분위기 속에 있었는데 이번 11월 <영주>,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뷰티풀 데이즈> 등이 한국 극영화가 독립·예술영화 순위에 이름을 올리며 오랜만에 활기를 띠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