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제조업은 대한민국 경제의 근간이자 국민의 일터이다. 국내기업 매출액의 40%를 차지하고, 수출의 84%를 담당한다. 전체 산업 가운데 가장 많은 400만개의 일자리가 제조업에 있다"며 "지금 우리 경제가 어려운 이유도 전통주력 제조업에서 활력을 잃고 있기 때문이다. 제조업에 혁신이 일어나야 대한민국 경제가 살고 경남 지역경제도 살아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경남 창원 경남도청에서 열린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보고회'에 참석, 연설을 통해 "제조혁신의 관건은 중소기업"이라며 "대기업은 이미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이 많이 도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제 중소기업으로 확산시킬 때"라면서 "제조업 생산액과 부가가치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이 살아야 대기업이 함께 살고 국가 경제가 살아난다"며 "함께 잘사는 포용적 성장과 혁신적 포용국가로 나아가는 길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정부는 내년 스마트공장 보급과 스마트산단 추진을 포함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예산으로 1조2086억원을 배정했다.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을 3만개로 늘릴 것"이라며 "스마트공장 운영을 위한 10만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1천개를 육성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제조업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중심이 되도록 일터도 혁신하겠다"며 "노동자 중심의 스마트공장을 도입하고, 위험, 유해 작업환경을 개선해 산업재해를 30% 감소시키겠다. 내년부터 스마트공장 도입 예산으로 협업로봇도 구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내년에 선도 스마트 산단 2곳을 지정하고, 2022년까지 10곳으로 늘릴 예정"이라며 "스마트 산단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을 집중 보급하고, 교통·주거, 복지시설 등 정주여건을 개선해 지역소재 중소기업의 인력확보에 도움이 되게 하겠다. 아울러, 정보통신기술을 집약시켜 신공정·신제품 시험생산의 중심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제조혁신은 우리 경제의 재도약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며 "경남 경제의 돌파구도 전통 주력산업의 활력회복과 함께 중소기업의 혁신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경남은 김경수 지사 취임 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4개년 계획'을 수립해 제조혁신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며 "경남의 새로운 도약은 우리 제조업의 중심지 경남을 살리고 한국 경제의 도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남부내륙 고속철도는 경남도민의 숙원사업인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경북도민의 희망이기도 하다"며 "경남과 경북 내륙지역의 균형발전, 또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곧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우리는 근면함과 열정으로 제조업 강국을 이뤘다"며 "세계 최고의 정보통신기술과 우수한 인력이 있기 때문에 스마트 제조혁신에서도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